주어진 선분의 양끝에서 선분의 길이와 같은 거리를 가진 노드를 찾아서 삼각형을 그리면 빗변 길이가 \(2\sqrt{10}\)이며 밑변 길이가 4인 이등변삼각형과, 빗변 길이가 \(2\sqrt{10}\)이며 밑변 길이가 \(4\sqrt{2}\)인 이등변삼각형이 그려집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샤오미 공유기에 OpenWrt 펌웨어 올리는 법을 설명했으며,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VPS에 Wireguard를 설치하는 방법도 알아보았습니다. 스크립트를 이용한 Wireguard 간단한 설치법 샤오미 공유기 3세대(Mi Router R3G)에 OpenWrt 올리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샤오미 공유기에 Wireguard 패키지를 설정하여 VPS에서 운영되고 있는 Wireguard에 연결하는 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제 경우는 앞서 포스팅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Wireguard를 설치한 Oracle Cloud에서 wg_mult.sh 명령어로 새로운 디바이스를 mi-wifi라는 이름으로 추가하였으며, 추가한 설정 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OpenWrt에 Wireguard 패키지 설치 OpenWrt 관리페이지에 로그인한 후 System->Software 메뉴를 선택하고, Update list를 한번 눌러준 후, Filter란에 Wireguard를 입력합니다. 표시된 목록 중에서 Availables 탭에서 luci-proto-wireguard를 선택하여 설치합니다. 필요하면 luci-i18n-wireguard-ko도 설치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설치된 패키지 목록에서 Wireguard로 검색했을 때 아래와 같이 5가지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한글화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4가지) 패키지 설치 후 메뉴에서 System->Reboot 메뉴에서 공유기를 한번 재부팅해 주어야 인터페이스 추가 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종류로 Wireguard VPN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Wireguard 인터페이스 추가 Network->Interface 메뉴를 선택한 후 하단의 Add Interface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추가합니다. 인터페이스 이름은 wg0로 입력합니다. (본인이 구분하기 편한 이름) 추가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상세 항목을 입력하기 위한 팝업이 표시됩니다. 공유기 부팅 시에도 인터페이스를 계속 사용하기 위해...
한동안 한국 정부가 DNS Spoofing 및 SNI 필드 감청으로 불법 사이트 접속을 막으면서 여러가지 논란이 되었는데, 중국 정부는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습니다. 중국 만리방화벽이 어떤 식으로 작동하는지는 관계자가 아니면 아무도 모르겠지만, 기본적으로 중국내에서는 모든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시한다고 보는게 맞을 겁니다. 중국 정부가 만리방화벽을 통해 접근을 막고 있는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여러가지 방법들 중 네트워크 트래픽을 보안이 적용된 웹사이트 (HTTPS = HTTP + TLS)에 접속하는 트래픽으로 위장하여 차단을 막는 방법이 최근에 많이 사용됩니다. 10여년 전에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딸 때 이후로 네트워크쪽으로 전혀 공부해 본 적이 없어서 자세히 설명할 수는 없지만, 간단히 개념만 설명해 보겠습니다.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웹상의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전송 규약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tls는 Transport Layer Security의 약자로 네트워크 전송 데이터를 암호화 하여 데이터를 중간에 가로채더라도 내용을 열어볼 수 없게 하는 목적의 기술입니다. 위 두가지를 합해서 웹 상에서 중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https (HTTP over TLS)라고 하며 전자상거래 등의 보안이 중요한 사이트에 연결 시 사용합니다. 즉, 일반적인 http를 사용하는 웹사이트 접속은 중간에 네트워크 데이터를 가로채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지만, https를 통한 웹사이트 접속은 중간에 네트워크 데이터를 가로채더라도 인증서를 통한 개인키가 없으면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v2ray에서 https를 통한 위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VPS에 설정한 v2ray 프록시 서버의 연결 포트를 https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443 포트로 설정하고, v2ray 클라이언트가 ...
2022년 3월쯤에 웹 검색을 하다가 Microsoft 365 Developer Program이라는 것이 있고, 기본 3개월간 Microsoft 365 앱을 개발하기 위해 관리자 포함 25개 계정에 E5 라이센스를 제공해주고, 계속 개발을 유지하는 경우 라이센스 구독 기간을 3개월마다 연장해 준다는 내용을 알게 되었습니다. 별 생각없이 가입했고, 역시나 검색을 통해 몇 가지 조치를 하면 자동으로 구독 기간이 3개월씬 연장된다고 하여, 검색을 통해 나온 내용대로 셋팅을 해두었는데, 그 뒤로 현재까지 별 문제 없이 3개월씩 연장이 되고 있어, Microsoft 365 Developer Program 가입 및 연장에 필요한 조치에 대해 포스팅합니다. 우선 이번 포스팅은 가입 및 Onedrive 5T로 용량 확장하기 까지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음 포스팅에 자동으로 연장되도록 하기 위한 몇 가지 설정 들에 대해서 이야기 하겠습니다. Microsoft 365 Developer Program 가입 마이크로소프트 365 개발자 프로그램 가입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하나 있어야 합니다. 이미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있으면 기존 계정을 사용해도 되고, 없으면 우선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생성합니다. 웹 브라우저에서 아래 링크의 마이크로소프트 365 개발자 프로그램 사이트에 방문합니다. https://developer.microsoft.com/en-us/microsoft-365/dev-program 우측 상단의 Sign in 항목을 선택하여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구분을 위해 " 개발자 구독 계정 "으로 지칭하겠습니다.)으로 로그인한 후 하단의 Join now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지역, 회사 이름(아무거나 적어도 됩니다.), 사용할 언어를 선택하고, 약관 동의 및 정보메일 수신 동의 후 Next 버튼을 눌러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
댓글
댓글 쓰기